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- 조선 후기 (문화 1) -
1. 조선 후기 성리학의 변화
- 의례를 중시한 예학 발달(김장생 '가례집람' 저술)
- 송시열을 비롯한 서인의 주도로 성리학적 질서 절대화
-> 반발(윤휴: '독서기' , 박세당: '사변록' 저술)
2. 양명학의 수용
- 앎은 행함을 통해서 성립한다는 지행합일과 치양지의 실천성 강조
- 정제두, 강화학파
3. 실학의 발달
> 중농학파
- 유형원 : '반계수록' 저술
-> 균전론 : 모든 토지를 국유화 하고 신분에 따라 토지를 차등 분배할 것을 주장
- 이익 : '성호사설', '곽우록' 저술
-> 한전론 : 생계에 필요한 최소한의 땅을 영업전으로 설정
-> 6좀 : 양반문벌제도, 노비제도, 과거제, 승려, 미신, 게으름)
-> 폐전론 : 농민 생활의 안정을 위해 화폐 사용 반대
- 정약용 : '경세유표' , '목민심서', '흠흠신서' 저술
-> 여전론 : 토지의 공동 소유 및 공동경작
-> 정전제 주장
> 중상학파
- 유수원 : '우서' 저술
-> 상공업의 진흥화 기술 혁신 강조
- 홍대용 : '의산문답', '임하경륜', '담현서' 저술
-> 혼천의 제작
-> 지전설, 무한 우주론 주장
- 박지원 : '열하일기' 저술
-> 양반전, 허생전, 호질 등 소설 저술
-> 수레와 선박 이용 강조
- 박제가 : '북학의' 저술
-> 소비론
4. 국학의 발달
> 역사
- 안정복 '동사강목' : 단군 조선 ~ 고려 역사서술 , 독자적 정통론 주장
- 한치윤 '해동역사' : 국내외 500여 종의 자료를 참고하여 고조선 ~ 고려의 역사 저술
- 김정희 '금성과안록' : 진흥왕 순수비 가운데 황초령비, 북한산비의 비문을 판독 해설
- 이종휘 '동사' : 고구려의 역사 기록
- 유득공 '발해고' : 남북국 용어 사용
- 이긍익 '연려실기술' : 실증적 객관적 서술
> 지리서
- 이중환 '택리지' : 각 지방의 자연환경, 인물, 풍속 등을 기록한 인물 지리서
- 한백겸 '동국지리지' : 역사 지리서, 삼한 위치와 고대 지명 새롭게 저술
- 정약용 '아방강역고' : 우리나라 강역에 관한 역사 지리서
> 지도
- 정상기의 '동국지도' : 최초로 100리 척 사용
- 김정호의 '대동여지도' : 10리마다 눈금 표시, 목판에 새겨 대량 인쇄 가능
> 백과사전
- 이수광의 '지붕유설' : 우리나라 백과사전의 시초
- 이익의 '성호사설' , 이덕무의 '정장관전서' . 서유구의 '임원경제지'
- '동국문헌비고' : 영조 때 국가적 사업으로 우리나라 역대 문물 정리
- 정약전의 '자산어보' : 흑산도 연해의 수산 생물 조사
> 한글
- 신경준의 '훈민정음운해' : 훈민정음의 발음 원리 과학적으로 규명
- 유희의 '언문지' : 우리말 음운 연구
- 이의봉이 '고금석림' : 우리 방언과 해외 언어 정리
'한국사검정시험 6월 27일 합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개항기(흥선대원군) (0) | 2020.06.04 |
---|---|
[한국사] 조선 후기(문화 2) (0) | 2020.06.03 |
[한국사] 조선 후기(사회) (0) | 2020.06.01 |
[한국사] 조선 후기(경제) (0) | 2020.05.31 |
[한국사] 조선 후기(조직, 외교) (0) | 2020.05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