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반응형

참고 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
 

- 조선 후기 (사회) -

 

 

 

 

1. 신분제의 동요

  - 왜란과 호란의 영향으로 양안(토지 대장)과 호적 소실, 국가 재정 감소

    -> 국가 재정 확충을 위해 납속책 시행, 공명첩 발급

  -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-> 부유한 상민층은 납속, 공명첩 매입, 족보 위조 매매 등으로 신분 상승

    -> 양반 수가 증가하고 상민과 노비 수 급감 -> 양반 중심의 신분 질서 동요

 

> 붕당 정치의 변질로 양반이 권반, 향반, 잔반으로 분화

 - 광작과 상품 작물 재배 등으로 큰 이익을 얻은 일부 농민이 부농층으로 성장

 

> 서얼

 - 양반의 자손이지만 차별 받음, 왜란 이후 차별 완화, 납속 공명첩으로 관직 진출

 - 관직 진출 제한의 철폐를 요구하는 집단 상소 운동 전개 -> 정조 때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(유득공, 이덕무, 박제가)

 

> 중인

  - 상업과 무역 활동으로 경제력 축적

  - 기술직 중인이 철종 때 진출 제한을 없애 달라는 대규모 소청 운동 전개

  - 시를 짓고 즐기는 문학 활동 모임인 시사 조직

 

 > 노비

  - 군공과 납속을 통한 신분 상승, 도망 노비 증가

  - 노비종모법(영조) 실시 : 아버지가 노비라도 어머니가 양인이면 자식은 양인으로 삼음

  - 공노비 해방(순조, 1801) : 군역 대상자 확보와 재정 보충을 위해 궁방과 중앙 관서의 공노비 해방

 

2. 향촌 질서의 변화

  - 촌락 단위로 동약 실시, 동성 마을 형성, 서원 사우 설립

  - 보학(족보 연구) 발달, 부계 중심 가족 제도 강화

  

> 향전 발생

  - 새롭게 양반층으로 성장한 신향과 재지 사족(구향)간의 대립

  - 신향의 향권 도전 -> 향안 등재, 향회 장악

 

3. 사회 변혁의 움직임

  - 양반 중심의 지배 동요, 탐관오리 횡포, 잦은 재난, 이양선 출몰 등 위기의식 

  - '정감록' 등의 예언 사상 유행, 미륵 신앙 확산

 

> 천주교

  - 인간 평등, 내세 사상 등을 내세워 하층민과 부녀자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

  - 조상에 대한 제사 의식 거부, 평등사상 강조로 정부의 탄압을 받음(신유박해(순조), 1801) -> 황사영 백서사건

> 동학 (최제우)

  - 시천주, 인내천 사상 강조, 양반 중심의 신분 질서 부정

  - 인간 평등을 강조, 흑세 무민의 죄목으로 최제우 처형

  - 2대 교주인 최시헝이 교리('동경대전' ,'용담유사' ) 교단 정비

 

 4. 농민의 저항

  - 삼정의 문란, 탐관오리 수발 -> 대규모 농민 봉기

  > 홍경래의 난(1811)

  - 평안도에서 홍경래가 우군칙과 함께 주도 -> 평안도 지역 차별과 지배층의 수탈에 항거 -> 정주성 전투

  > 임술 농민 봉기(1862)

  - 진주에서 유계춘을 중심으로 부정부패에 항의하는 농민 봉기 일어남

  - 정부의 삼정 개혁 약속, 암행어사 안핵사(박규수) 파견, 삼정이정청 설치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