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반응형

참고 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
 

- 조선 후기 (경제) -

 

 

 

 

1. 수취 체제의 개편

 > 조세

  - 과전법(영양왕) : 1결 30두 -> 공법(세종) : 1결 4~20두 -> 영정법(인조, 조선후기) : 1결 4두~6두

 > 공납

  - 대동법

    -> 광해군 때 선혜법이라는 이름으로 경기도에서 처음 실시

    -> 농민의 부담 감소, 공인 등장(관청에 물품조달) -> 상품 화폐 경제 발달 촉진

 > 역

  - 균역법(영조)

    -> 1년에 군포 2필을 부과하던 것을 1필로 줄여 줌

    -> 부족해진 재정은 결작, 어염세, 선무군관포 등으로 충당

 

2. 농촌 경제의 변화

  - 이앙법(모내기법)의 확대, 농기구와 시비법 개량, 새로운 농법 시도(견종법)

    -> 수확량 증가, 노동력 절감, 벼와 보리의 이모작 확산

  - 광작 확산, 상품 작물 재배(담배, 면화, 고추, 인삼)

  - 지대의 변화 : 타조법(정율 지대, 신분) -> 도조법(정액 지대, 계약) 등장

 

3. 상업의 발달

  - 금난전권 폐지(신해통공, 정조) 자유로운 산업 활동 가능 

  - 대표적 사상 : 경강상인(한강), 송상(개성, 전국에 송방 설치, 사개치부법), 만상(의주), 유상(평양), 내상(동래)

  - 일부 사상은 공인과 함께 도고(독과점)로 성장

 

  > 장시 

   - 광주 송파장, 은진 강경장, 덕원 원산장 등

   - 보부상이 여러 장시를 돌며 물품 판매(보부상단 조직)   

 > 포구상업

   - 선박을 이용하여 각 지방의 물품을 구입한 뒤 포구에서 판매, 경강상인이 대표

     -> 객주, 여각 : 포구에서 선상의 상품 매매 중개 운송 보관 숙박 금융업에 종사

 > 대외무역

   - 17세기 증엽 이후 국경 지대에서 공무역인 개시 무역과 사무역인 후시 무역 발달

   - 청과의 무역 : 수출품(은 , 종이 , 무명, 인삼) 수입(비단 , 약재 , 문방구)

   - 일본과의 무역 : 부산포의 왜관에서 무역활동 전개, 수출품(인삼, 쌀, 무명), 수입품(은, 구리, 황)

 > 상인의 성장

   - 만상(대청 무역), 내상(대일 무역), 송상(청과 일본을 연결하는 중계 무역)

 

 4. 화폐 경제 발달

   - 상공업 발달, 대동법 실시 이후 조세와 지대의 금납화

   - 18세기 후반 상평통보가 전국적으로 유통, 신용 화폐(환, 어음) 등장

   - 지주나 대상인이 화폐를 고리대나 재산 축적 수단 사용 -> 유통 화폐가 부족해지는 전황(디플레이션)발생

 

5. 수공업의 발달

   - 민영 수공업 발달

   - 선대제(공인과 대상인에게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아 제품 생산) 성행

   - 독립 수공업 등장(18세기 후반)

   - 점촌 형성(각종 장인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며 물품 생산하는 마을)

 

6. 광업의 발달

   - 조선 초기 정부가 독점적으로 채굴 -> 17세기 이후 정부가 미안긴에게 광산 채굴 허용(설점수세제)

   - 불법적인 잠채(몰래)의 성행

   - 덕대(CEO, 전문경영인)의 등장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