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- 조선 후기 (경제) -
1. 수취 체제의 개편
> 조세
- 과전법(영양왕) : 1결 30두 -> 공법(세종) : 1결 4~20두 -> 영정법(인조, 조선후기) : 1결 4두~6두
> 공납
- 대동법
-> 광해군 때 선혜법이라는 이름으로 경기도에서 처음 실시
-> 농민의 부담 감소, 공인 등장(관청에 물품조달) -> 상품 화폐 경제 발달 촉진
> 역
- 균역법(영조)
-> 1년에 군포 2필을 부과하던 것을 1필로 줄여 줌
-> 부족해진 재정은 결작, 어염세, 선무군관포 등으로 충당
2. 농촌 경제의 변화
- 이앙법(모내기법)의 확대, 농기구와 시비법 개량, 새로운 농법 시도(견종법)
-> 수확량 증가, 노동력 절감, 벼와 보리의 이모작 확산
- 광작 확산, 상품 작물 재배(담배, 면화, 고추, 인삼)
- 지대의 변화 : 타조법(정율 지대, 신분) -> 도조법(정액 지대, 계약) 등장
3. 상업의 발달
- 금난전권 폐지(신해통공, 정조) 자유로운 산업 활동 가능
- 대표적 사상 : 경강상인(한강), 송상(개성, 전국에 송방 설치, 사개치부법), 만상(의주), 유상(평양), 내상(동래)
- 일부 사상은 공인과 함께 도고(독과점)로 성장
> 장시
- 광주 송파장, 은진 강경장, 덕원 원산장 등
- 보부상이 여러 장시를 돌며 물품 판매(보부상단 조직)
> 포구상업
- 선박을 이용하여 각 지방의 물품을 구입한 뒤 포구에서 판매, 경강상인이 대표
-> 객주, 여각 : 포구에서 선상의 상품 매매 중개 운송 보관 숙박 금융업에 종사
> 대외무역
- 17세기 증엽 이후 국경 지대에서 공무역인 개시 무역과 사무역인 후시 무역 발달
- 청과의 무역 : 수출품(은 , 종이 , 무명, 인삼) 수입(비단 , 약재 , 문방구)
- 일본과의 무역 : 부산포의 왜관에서 무역활동 전개, 수출품(인삼, 쌀, 무명), 수입품(은, 구리, 황)
> 상인의 성장
- 만상(대청 무역), 내상(대일 무역), 송상(청과 일본을 연결하는 중계 무역)
4. 화폐 경제 발달
- 상공업 발달, 대동법 실시 이후 조세와 지대의 금납화
- 18세기 후반 상평통보가 전국적으로 유통, 신용 화폐(환, 어음) 등장
- 지주나 대상인이 화폐를 고리대나 재산 축적 수단 사용 -> 유통 화폐가 부족해지는 전황(디플레이션)발생
5. 수공업의 발달
- 민영 수공업 발달
- 선대제(공인과 대상인에게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아 제품 생산) 성행
- 독립 수공업 등장(18세기 후반)
- 점촌 형성(각종 장인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며 물품 생산하는 마을)
6. 광업의 발달
- 조선 초기 정부가 독점적으로 채굴 -> 17세기 이후 정부가 미안긴에게 광산 채굴 허용(설점수세제)
- 불법적인 잠채(몰래)의 성행
- 덕대(CEO, 전문경영인)의 등장
'한국사검정시험 6월 27일 합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조선 후기(문화 1) (0) | 2020.06.02 |
---|---|
[한국사] 조선 후기(사회) (0) | 2020.06.01 |
[한국사] 조선 후기(조직, 외교) (0) | 2020.05.31 |
[한국사] 조선후기(정치) (0) | 2020.05.28 |
[한국사] 조선 전기(문화 2) (0) | 2020.05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