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반응형

참고 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
 

- 조선 후기 (정치) -

 

 

1. 붕당 정치의 전개

 > 선조 

  - 척신 정치, 이조 전랑 임명 문제를 둘러싸고 사림 분열 -> 동인과 서인의 붕당 형성

   -> 서인의 정철(사미인곡, 관동별곡)정여립 모반 사건을 빌미로 동인 숙청(기축옥사) 

   -> 정철의 건저 문제로 정권을 잡은 동인이 정철에 대한 차별울 두고 남인과 북인으로 분화

 

> 광해군 (허준 - 동의보감, 중립외교(김홍립), 대동법) (북인)

  - 임진왜란 이후 북인이 서인과 남인을 배제하고 정권 독점

 

> 인조 (서인)

  - 인조반정으로 북인 몰락, 서인이 정권 장악

 

2. 붕당 정치의 변질

 > 예송의 발생(현종)

  - 효종, 효종비 사망 -> 인조의 제비인 자의 대비의 복상 기간을 두고 서인과 남인의 대립

  - 서인 : 효종이 차남으로 왕위에 올랐으므로, 왕실이 사대부와 같은 예를 따라야 함('주자가례')

  - 남인 : 왕실의 예는 사대부의 예와는 다름('주례' , '예기')

 

> 1차 예송(기해예송, 1659) - 효종 사망 / 서인 의견 수용

  - 서인 : 차남에 해당하는 1년설

  - 남인 : 국왕에 해당하는 3년설

> 2차 예송(갑인예송, 1674) - 효종비 사망 / 남인 의견 수용

  - 서인 : 둘째 며느리에 해당하는 9개월

  - 남인 : 왕비에 해당하는 1년설 주장

 

3. 환국의 전개(정권이 급격하게 바뀜) (숙종)

  - 숙종 때 빈번하게 발생

 > 신환국(1680)

  - 서인이 허적과 윤휴 등 남인을 몰아내고 집권 -> 서인은 남인에 대한 처벌을 둘러싸고 노론과 소론으로 분화

사환국(1689)

  - 서인의 우두머리 송시열희빈 장씨 아들의 원자 책봉을 반대하자 숙종이 송시열 처형

  -> 인현 황후 폐위, 희빈 장씨 왕비 책봉 -> 서인 몰락, 남인 집권

술환국(1694)

  - 숙종이 인현 황후를 복위시키고 희빈 장씨를 내쫒음 -> 남인 몰락, 서인 집권

 

3. 탕평 정치의 전개 (영조)

 > 정치

  - 공론의 주재자인 산림의 존재 부정 및 붕당의 근거지인 서원 정리

  - 이조 전랑의 권한 축소, 탕평비 건립(붕당의 폐해 경계)

 > 경제 

  - 균역법 실시(1년에 군포 1필 징수) -> 농민부담 감소

 > 사회

  - 형벌 제도 완화(사형수에 대한 삼심제), 신문고 제도, 청계천 준설

 > 문물 정비 

  - '속대전', '속오례의', '동국문헌비고'

 

4. 정조의 개혁정치(준론 탕평) 

 > 정치 

  - 규장각 육성

 - 초계문신제 실시 : 국왕의 권력과 정책을 뒷받침할 인재 육성

 - 장용영 설치 : 국왕의 군사력 기반 강화

 - 수원 화성 건설

 > 경제

  - 신해통공(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의 금난전권 폐지)

 > 사회

  - 수령권 강화 : 수령이 군현 단위 향약 직접 주관

  - 서얼과 노비에 대한 차별 완화(박제가, 유득공, 이덕무  서얼 출신 학자를 규장각 검사관 등용)

 > 문물정비

  - '대전통편', '동문휘고', '탁지지', '무예도보통지'

 

5. 세도 정치의 전개

 - 정조 사후 나이 어린 왕의 즉위로 왕권 약화

 - 순조, 헌종, 철종 3대 60여 년간 전개

 - 안동 김씨, 풍양 조씨 등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은 몇몇 가문이 비변사와 5군영 장악

 - 매관 매직 등 정치 기강 극도로 해이

 - 삼정의 문란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