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- 조선 전기 (경제, 사회) -
1. 토지제도
> 과전법 (공양왕)
- 전 현직 관리에게 수조권 지급(경기 지방의 토지한정)
- 사망이나 반역 시 반환, 수신전, 휼양전으로 세습 가능
> 직전법(세조)
- 수신전, 휼양전 폐지
- 현직 관료에게만 지급
> 관수관급제(성종)
- 지방 관청이 수조권 대행
> 직전법 폐지(명종)
- 녹봉만 지급
- 수조권 지급 제도 소멸
2. 수취체제
> 조세제도
<15세기>
- 과전법: 수확량의 1/10 징수
- 공법(세종): 전분 6등법(토지 비옥도에 따라 6등급), 연분9등법(풍흉에 따라 9등급) -> 1결당 4~20두
<16세기>
- 최저 세율에 따라 토지 1결당 4~6두 징수
> 공납제도
<15세기>
- 중앙 관청이 각 군현에 물품과 액수 할당,
<16세기>
- 방납의 폐단으로 농민 부담 증가
> 역(군대)
<15세기>
- 군역(일정기간 군대에서 복무, 양반 향리 면제), 요역(토목 공사 등에 동원)
<16세기>
- 대립과 방군수포 성행
-> 대립 : 다른 사람에게 대가를 주고 군역을 대신 부담하게 함
-> 방군수포 : 국가에 포를 내고 군역을 면제받음
> 지대(땅 주인에게 내는 세)
<16세기>
- 생산량의 1/2 납부(타조법, 병작반수)
> 농민 생활 악화 초래 -> 유민 증가, 일부 도적화(명종 때 임꺽정)
3. 양반 중심의 신분제 사회
- 양반 : 토지와 노비 소유, 과거 등을 통해 고위 관직 차지, 각종 군역 면제
- 중인 : 통역관, 의관 등 기술관과 중앙 관청의 하급관리, 지방 향리, 서얼
- 상민 : 농민 상인 수공업자(법적으로 과거응시 가능), 신량역천(양인 중에 천역을 담당) -> 봉수군, 수군, 역졸
- 천민 : 노비(천민 중 대다수 차지), 공노비, 사노비, 재산으로 취급, 일천즉천 -> 백정, 광대, 무당
4. 사회 제도와 법률
> 농민
- 두레 : 공동 노동의 작업 공동체
- 향도 : 공동체 조직, 향촌에 상장제례가 있을 때 상부상조
- 안정책 : 의창(춘대추납), 상평창, 사창 제도, "구황촬요" 간행(흉년대비, 명종)
의료시설: 혜민국(서민의 질병 치료), 동 서 활인서(환자 치료, 빈민 구제), 제생원(빈민 구호)
- 통제책 : 호패법(태종), 오가작통법 -> 국가
향약보급 -> 사족
-> 중종 때 조광조(기묘사화)가 시행
> 지방 사족
- 향촌 사회의 지배층
- 유향소 운영 : 좌수와 별감을 선발하여 운영 -> 여론 형성, 수령 보좌, 향리 감찰
- 향회(향안 작성, 향규 제정)
- 서원 설립 : 향촌에 성리학 보급, 인재 양성
- 향약 보급
> 법률
- 대명률(형법) + 경국대전 (민법)이 관습법보다 우선됨
- 관찰사와 수령이 사법권 행사(행정 + 군사 + 사법), 신문고 제도(태종)
'한국사검정시험 6월 27일 합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조선 전기(문화 2) (0) | 2020.05.26 |
---|---|
[한국사] 조선 전기(문화 1) (0) | 2020.05.26 |
[한국사] 조선 전기(외교) (0) | 2020.05.23 |
[한국사] 조선 전기(조직) (0) | 2020.05.21 |
[한국사] 조선 전기(정치) (0) | 2020.05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