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- 조선 전기 (외교) -
1. 조선 초기 대외 관계
> 사대 (명)
- 건국 초 태조와 정도전이 요동 정벌 주장 -> 태종(이방원) 이후 사대 외교 전개(공무역)
> 교린 ( 여진, 일본)
<여진>
- 강경책 : 세종 때 최윤덕과 김종서를 보내 4군 6진 개척 -> 사민 정책, 토관 제도 실시
- 온건책 : 귀순 장려, 북평관 설치, 국경무역 허용(경원, 경성에 무역소 설치)
<일본>
- 강경책 : 세종 때 이종무의 쓰시마 섬(대마도) 정벌
- 온건책 : 3포 개항(부산포, 제포(창원), 염포(울산)과 계해약조 체결(세종)
2. 임진왜란의 전개
> 왜란 이전
- 3포 왜란(중종) - 임시 기구로 비변사 설치
- 을묘왜변(명종) - 비변사 상설 기구화
> 임진왜란 (1592)
- 왜군 침략 -> 부산진 동래성 함락 -> 충주 탄금대 전투(신립) 패배 -> 선조의 의주 피란
- 수군의 활약 : 한산도 대첩(이순신, 학익진 전법)
- 의병의 활약 : 자발적 조직, 향토 지리에 알맞은 유격전 전개, 북관 대첩(정문부)
- 명군의 참전, 관전 재정비 : 진주 대첩(김시민) -> 평양성 전투(조 명 연합군 승리) -> 행주 대첩(권율)
> 정유재란(1597)
- 왜군의 재침입 -> 명량 대첩(이순신), 노량해전(이순신) 조선이 승리
> 군사 조직 변화
- 5위(중앙), 영진군(지방) -> 5군영(중앙), 속오군(지방) 으로 변화
- 훈련도감(5군영) 설치 : 포수, 사수, 살수의 삼수병으로 구성(직업군인)
- 속오군 설치 : 양반부터 노비에 이르기까지 편성
3. 광해군의 정책(북인)
> 전 후 복구사업
- 농지 개간 장려
- 공납을 쌀로 거두는 대동법을 경기도에서 처음 시행
- '동의보감' (허준)
> 교역재개
- 에도 막부의 통쇼 허용 요청(기유약조(1609))
> 중립외교
- 후금의 공격을 받은 명이 조선에 지원병 요청(강홍립 실리적으로 대처)
- 명과 후금 사이에서 실리적 외교 정책(중립 외교)
> 인조반정
- 광해군 중립 외교 반발(서인), 인목 대비 유폐 및 영창대군 살해
- 서인이 반정을 일으켜 광해군 축출하고 정권 장악(1623) -> 인조
4. 정묘호란(1627)
- 인조반정으로 서인집권 -> 친명배금 정책으로 후금 자극
- 반란을 일으킨 이괄의 잔당이 후금으로 도망
- 이괄의 난과 광해군의 원수를 갚는다는 명분으로 후금이 조선 침략
- 인조의 강화도 피신
5. 병자호란(1636)
- 후금(청) -> 청의 군신 관계 요구 -> 조선이 요구거절
- 청 태종의 침략 -> 청군 한성진격
- 인조 남한산성으로 피신(45일간 항전)
- 삼전도에서 강화체결(삼전도의 굴욕)
'한국사검정시험 6월 27일 합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조선 전기(문화 1) (0) | 2020.05.26 |
---|---|
[한국사] 조선 전기(경제 , 사회) (0) | 2020.05.24 |
[한국사] 조선 전기(조직) (0) | 2020.05.21 |
[한국사] 조선 전기(정치) (0) | 2020.05.20 |
[한국사] 고려(문화 2) (0) | 2020.05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