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- 조선 전기 (조직) -
1. 중앙정치 조직
> 의정부 : 재상들의 합의로 운영되는 최고 정무 기구, 국정 총괄
> 6조 : 정책을 집행하는 행정 기관(이 호 예 병 형 공 조)
<3사 언론기구>
> 사간원(대사간) : 정책에 대한 간쟁, 논박 ==> 대간 (서경 간쟁 봉박)
> 사헌부(대사헌) : 관리들의 비리 감찰, 풍속 교화, 백성들의 억울한 일 해결 ==> 대간 (서경 간쟁 봉박)
> 홍문관(대제학) : 국왕 자문 담당, 경연 주관, 경서 관리, 옥당이라고 불림
> 의금부 : 국왕 직속 특별 사법 기구
> 승정원 : 왕명 출납(왕의 비서 기관)
> 한성부 : 수도의 행정 치안 담당
> 춘추관 : 역사서의 편찬 보관
> 성균관 : 최고 관립 교육기관
2. 지방행정 조직
> 8도 : 부 목 군 현 - 면 리 통으로 조직
> 지방관 파견
- 8도 : 중앙에서 관찰사 파견 (고려 : 안찰사)
-> 각 도의 행정 담당, 관할 지역 수령의 비행 감독 --> 임기제, 상피제 적용
> 부 목 군 현 수령 파견
- 모든 군현에 수령 파견
- 수령의 권한 강화 : 지방의 행정, 군사, 사법권 장악
- 향리의 권한 약화 : 수령의 행정 실무를 보좌하는 세습적 아전으로 격하
> 유향소 : 지방 사족으로 구성, 수령 자문 및 향리의 비리 감시
> 경재소 : 해당 지방 출신의 중앙 고위 관리를 책임자로 임명, 유향소와 정부 사이의 연락 담당
3. 관리선발 방식
- 양인 이상이면 응시 가능 -> 탐관오리의 아들, 재가한 여자의 자손, 서얼은 문과 응시 제한
- 3년마다 시행, 승과는 폐지 ( 고려는 무과가 없고 승과가 있음 )
> 종류
- 문과 : 예조에서 시행
-> 소과 (백패) : 합격 후 하급 관리 진출, 성균관에서 공부하여 대과 응시 가능
-> 대과 (홍패) : 초시, 복시, 전시 단게로 나누어 시험 -> 최종 33명 선출
- 무과 : 대과와 같은 절차 (28명)
- 잡과 : 기술관 선발
- 천거 : 추천제, 현량과(조광조 - 기묘사화)
- 취재 : 기술직
4. 군사 조직
> 군역 제도
- 양인 개병제, 농병 일치 -> 의무병
- 현직 관료, 학생, 향리는 군역 면제
> 군사 제도
- 중앙군 : 5위(궁궐 수도 방어)
- 지방군 : 영진군
15C 세조 때 진관체제(지역 방어 체제) 실시
16C 명종 때 제승방략체제(도 방어 체제) 실시
임진왜란 중 진관(속오군) 체제로 복귀
- 잡색군 : 향리 잡학인, 신량역천인, 노비로 구성(예비군)
'한국사검정시험 6월 27일 합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조선 전기(경제 , 사회) (0) | 2020.05.24 |
---|---|
[한국사] 조선 전기(외교) (0) | 2020.05.23 |
[한국사] 조선 전기(정치) (0) | 2020.05.20 |
[한국사] 고려(문화 2) (0) | 2020.05.19 |
[한국사] 고려(문화 1) (0) | 2020.05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