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- 국권 피탈과 저항 -
1. 일제의 국권 침탈 과정
> 러 일 전쟁 발발(1904)
일본이 러시아 기습 공격, 전쟁 발발 -> 일이 대한 제국에 한 일 의정서 강요(한국 내 군사요충지 사용권 확보)
> 제1차 한 일 협약
- 외교 고문 스티븐스, 재정 고문 메가타 파견
> 제2차 한 일 협약(을사늑약, 1905)
- 대한 제국 외교권 박탈, 통감부 설치(이토히로부미)
- 언론의 비판 : 장지연이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 게재
- 자결 : 민영환이 자결로써 을사늑약 부당함과 항일 의지 알림
- 고종 황제의 조치 : 헤이그 특사 파견(이상설, 이준, 이위종)
> 한 일 신협약(정미7조약, 1907)
- 일본이 헤이그 특사 파견을 구실로 고종 황제 강제 퇴위
- 순종 즉위 후 조약 강제 체결, 통감의 내정 간섭 권한 강화
- 군대해산
> 기유각서(1909)
- 사법권과 감옥 사무 박탈
> 경솔국치(1910, 8)
- 한국을 강제 병합하는 조약 체결(국권강탈) -> 조선 총독부 설치
2. 애국 계몽 운동
> 보안회(1904)
- 일본이 황무지 개간권 요구 반대
> 헌정 연구회(1905)
- 입헌 군주제 수립 주장
> 대한 자강회(1906)
- 헌정 현구회 계승, 입헌군주제 지향
- 고종 퇴위 반대
> 신민회(1907)
- 안창호 양기탁 등이 조직한 비밀 결사
- 대중 계몽 활동 : 강연회 학회할동
- 민족 교육 실시 : 대성 학교(평양), 오산 학교(정주) 설립
- 민족 산업 실시 : 자기 회사, 태극 서관 운영
- 국외 독립 운동 기지 건설 : 남만주(서간도) 삼원보에 독립운동 기지 건설
- (신흥 강습소 -> 신흥 무관학교) 설립
- 일제가 조작한 105인 사건으로 와해됨
3. 항일 의병 운동 전개
> 을미 의병(1895)
- 원인 : 을미사변 및 단발령으로 일어남
- 주도 : 유인석, 이소등 등 양반 유생층
- 단발령 철회 조치, 고종의 해산권고에 자진해산
> 을사의병(1905)
- 원인 : 을사늑약 체결
- 주도 : 민종식, 최익현
- 신돌석 등 평민 의병장 등장
> 정미의병(1907)
- 원인 : 고종의 강제 퇴위(고종의 헤이그 특사 파견 구실), 대한 제국의 군대 해산
- 특징 : 해산 군인들의 합류로 조직력과 전투력 강화
- 활동 : 13도 창의군 결성(총대장 이인영, 군사장 허위)
: 국제법상 교전 단체로 인정할 것을 요청
: 서울 진공 작전 시도(1908)
-> 일제의 남한 대토벌 작전으로 의병 활동 위축
4. 항일 의거 운동
> 국내 의거
- 나철 오기호(을사5적 처단하기 위해 할동, 자신회 조직)
- 이재명 : 명동 성당 앞에서 이완용 처단 시도
> 국외 의거
- 전명운, 장인환 : 친일 외교 고문 스티븐스 저격(1908)
- 안중근 : 하얼빈에서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 사살(1909)
'한국사검정시험 6월 27일 합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개항기(문화) (0) | 2020.06.11 |
---|---|
[한국사] 개항기(경제) (0) | 2020.06.10 |
[한국사] 개항기(동학 농민 운동 ~ 대한 제국) (0) | 2020.06.08 |
[한국사] 개항기(개항 ~ 갑신정변) (0) | 2020.06.05 |
[한국사] 개항기(흥선대원군) (0) | 2020.06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