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- 개항기(경제) -
1. 개항 초기 경제 침탈
> 강화도 조약(1876)
- 치외 법권(영사 재판권) 허용, 최혜국 대우 조항 X
- 조 일 수호 조규 부록 : 개항장 10리 이내 무역 허가, 개항장에서 일본 화폐 유통 허용
- 조 일 무역 규칙 : 일본 상품에 대한 관세 X, 일본으로 조선 양곡 방출 허용
> 조 미 수호 통상 조약(1882)
- 거중 조정, 최혜국 대우, 치외 법권
- 낮은 세율의 관세 조항 규정(최초)
- 조약 체결 후 미국 공사가 한성에 부임
- 보빙사 파견(보빙사 일원이었던 유길준이 귀국 후 '서유견문' 집필
> 조 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(1882)
- 임오군란 후 체결, 청의 내정 간섭 심화
- 치외법권, 내지 통상 가능
> 조 일 통상 장정(1883)
- 일본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 규정
- 방곡력 규정 마련(1개월 전 통보)
- 최혜국 대우 조항 추가 -> 일본 상인의 내지 무역 가능
2. 열강의 이권 침탈
- 아관 파천 후 러시아의 이권 침탈 심화
- 일본, 미국, 프랑스, 독일 등 열강이 최혜국 대우를 내세워 각종 이권 요구
> 러시아 이권 침탈
- 압록강과 두만강 등지의 삼림 채벌권 차지
- 광산 채굴권, 용암포 불법 점령
- 절영도 조차 요구, 한 러 은행 설립
> 미국 이권 침탈
- 운산의 금광 채굴권
- 경인선 부설권 차지(후에 일본이 사들임)
> 프랑스 이권 침탈
- 광산 채굴권
- 경의선 부설권(후에 일본이 사들임)
> 일본의 이권 침탈
- 직산의 금산 채굴권
- 경부선 경원선 부설권 차지
3. 일본의 토지 약탈과 금융 지배
> 화폐 정리 사업(1905)
- 제 1차 한 일 협약에 따라 일본이 파견한 재경 고문 메가타가 주도
-> 백동화를 제일 은행권으로 교체
-> 전환국 폐지(화폐 만드는 곳), 금 본위제 실시
> 토지 약탈
- 러 일 전쟁 중 '대한 시설 강령 작성'(대규모 일본 농민 이주 계획 -> 대한 제국 정부에 황무지 개간권 요구
- 철도 부지 강탈
- 동양 척식 주식회사 설립(1908) : 국가 소유의 미개간지 역둔토를 계획적 약탈 - 일본인에 싸게 판매
4. 경제적 구국 운동
> 상회소 상회사 설립
- 개항장 객주 등이 상권 유지를 목적으로 상회소 결성(원산 상회소, 의신 상회소)
- 일반 상인들이 상회사 설립(평양의 대동 상회, 서울의 장통 회사)
> 방곡령 선포
> 근대적 은행 설립
- 조선 은행(1896), 한성 은행(1897), 대한 천일 은행(1899)
> 이권 수호 운동
- 독립 협회가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여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 저지, 한 러 은행 폐쇄 성공
> 상권 수호 운동
- 시전 상인이 황국 중앙 총상회 조직(1898)
> 황무지 개간권 요구 반대 운동
- 보안회 :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반대
> 국채 보상 운동(서상돈 김광제) < 물산 장려 운동이랑 헷갈리면 안돼요(물산 장려운동은 평양)>
- 대구에서 시작
- 전국적인 모금 운동 전개
- 대한매일신보와 황성신문 등 언론의 지지로 확산
- 일제 통감부의 방해와 탄압으로 실패
'한국사검정시험 6월 27일 합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일제 강점기(식민통치) (0) | 2020.06.12 |
---|---|
[한국사] 개항기(문화) (0) | 2020.06.11 |
[한국사] 국권 피탈과 저항 (0) | 2020.06.09 |
[한국사] 개항기(동학 농민 운동 ~ 대한 제국) (0) | 2020.06.08 |
[한국사] 개항기(개항 ~ 갑신정변) (0) | 2020.06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