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고려 중기(중기 정치 ~ 무신 정변)
1. 문벌 귀족 사회 성립
<형성>
- 지방 호족과 6두품 출신의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문벌귀족 사회 형성
<특권>
- 정치 : 과거(광종)와 음서를 통해 정치권력 독점
- 경제: 공음전(세습 허용) 혜택을 받아 경제력 독점
- 폐쇄적인 혼인 관계. 왕실과 혼인 관게를 맺어 외척으로 성장
<대표가문>
- 이자겸(이자겸의 난), 김부식(삼국사기), 최충(사학 12도 9재), 윤관(별무반)
2. 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
- 이자겸의 난
-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
1. 묘청 등 서경 세력이 풍수지리설 내세워 서경 천도 추진
2. 개경 세력 반대로 서경 천도 중단
3. 묘청이 서경에서 난을 일으킴(국호 - '대위', 연호 - '천개')
4. 김부식이 이끈 관군에게 진압됨
-> 신채호의 평가: "조선사 연구소" 에서 '조선역사 일천년래 제일 대사건' 이라고 평가
3. 무신 정변(1170년)
<형성>
-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
- 보현원에서 정중부, 이의방 등이 정변을 일으켜 의종을 폐하고 권력 장악
- 무신이 중방(무신 정권 때 실질적 최고 권력기구)을 중심으로 주요 관직 독점
초기 무신 정권: 무신 집권자의 잦은 교체(이의방 -> 정중부 -> 경대승 -> 이의민 -> 최충헌)
최씨 무신 정권: 최충헌이 이의민을 제거하고 정권 장악(봉사 10조 사회 개혁안 제시) -> 최우
4. 무신 정권이 권력 기구
4-1 정치
최충헌(봉사 10조)이 설치
<교정도감>
-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 권력 기구
- 우두머리인 교정별감이 최고 권력 행사
최우가 설치
<정방>
- 인사 행정 기구(인사권 장악)
<서방>
- 문인 등용(국정 자문, 외교 문서 작성)
4-2 군사
설치(경대승) -> 해체(이의민) -> 부활(최충헌)
<도방>
- 신변 경호를 위한 사병 집단
최우의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한 야별초에서 시작
<삼별초>
- 죄별초, 우별초, 신의군으로 구성
5. 무신 집권기 사회 동요
<귀족>
- 김보당의 난(동북면 병마사), 조위총의 난(서경 유수, 서경)
<농민>
- 망이, 망소이의 난(공주 명학소)
- 김사미, 효심의 난(경상도)
<천민>
- 만적의 난(신분 해방 운동)
'한국사검정시험 6월 27일 합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고려(경제, 사회) (0) | 2020.05.17 |
---|---|
[한국사] 고려(외교) (0) | 2020.05.16 |
[한국사] 고려(초기정치) (0) | 2020.05.14 |
[한국사] 고대(문화 2) (0) | 2020.05.12 |
[한국사] 고대(문화 1) (0) | 2020.04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