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반응형

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
 

고려 중기(중기 정치 ~ 무신 정변)

 

1. 문벌 귀족 사회 성립

 <형성> 

 - 지방 호족과 6두품 출신의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문벌귀족 사회 형성

 <특권>

 - 정치 : 과거(광종)와 음서를 통해 정치권력 독점

 - 경제: 공음전(세습 허용) 혜택을 받아 경제력 독점

 - 폐쇄적인 혼인 관계. 왕실과 혼인 관게를 맺어 외척으로 성장

 <대표가문>

 - 이자겸(이자겸의 난), 김부식(삼국사기), 최충(사학 12도 9재), 윤관(별무반)

 

2. 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

  - 이자겸의 난

  -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

1. 묘청 등 서경 세력이 풍수지리설 내세워 서경 천도 추진

2. 개경 세력 반대로 서경 천도 중단

3. 묘청이 서경에서 난을 일으킴(국호 - '대위', 연호 - '천개')

4. 김부식이 이끈 관군에게 진압됨

-> 신채호의 평가: "조선사 연구소" 에서 '조선역사 일천년래 제일 대사건' 이라고 평가

 

3. 무신 정변(1170년)

 <형성>

 -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

 - 보현원에서 정중부, 이의방 등이 정변을 일으켜 의종을 폐하고 권력 장악

 - 무신이 중방(무신 정권 때 실질적 최고 권력기구)을 중심으로 주요 관직 독점

 

초기 무신 정권: 무신 집권자의 잦은 교체(이의방 -> 정중부 -> 경대승 -> 이의민 -> 최충헌)

최씨 무신 정권: 최충헌이 이의민을 제거하고 정권 장악(봉사 10조 사회 개혁안 제시) -> 최우

 

4. 무신 정권이 권력 기구

 4-1 정치

 최충헌(봉사 10조)이 설치 

 <교정도감> 

 -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 권력 기구

 - 우두머리인 교정별감이 최고 권력 행사

 

  최우가 설치

 <정방>  

 - 인사 행정 기구(인사권 장악)

 <서방>

 - 문인 등용(국정 자문, 외교 문서 작성)

 

 4-2 군사

 설치(경대승) -> 해체(이의민) -> 부활(최충헌)

 <도방>

 - 신변 경호를 위한 사병 집단

 

 최우의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한 야별초에서 시작 

<삼별초>

 -  죄별초, 우별초, 신의군으로 구성

 

5. 무신 집권기 사회 동요

 <귀족>

 - 김보당의 난(동북면 병마사), 조위총의 난(서경 유수, 서경)

 <농민>

 - 망이, 망소이의 난(공주 명학소)

 - 김사미, 효심의 난(경상도)

 <천민>

 - 만적의 난(신분 해방 운동)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