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고려 전기(초기)
1. 태조 왕건
- 민생 안전: 1/10 조세감면, 흑창(-> 의창[성종] )설치
- 호족 당근정책 : 혼인 정책, 사성 정책, 역분전 지급
호족 채찍정책: 사심관 제도(연대책임), 기인 제도
- 북진 정책: 서경(평양)중시
- '정계', '계백료서', 훈요 10조
2. 정종 - 왕규의 난
3. 광종(왕권강화)
- 노비안검법 : 불법적 노비 해방(호족세력 약화)
- 과거제 실시: 쌍기의 건의
- 공복제정
- 칭제건원: 황제를 칭하고 광덕, 준풍 등 독자적인 연호 사용
4. 경종 - 역분전을 대신하여 전시과 제도 마련(시정 전시과)
5 성종
-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채택하여 유교 정치 실현 추구
- 2성 6부의 중앙 관제 마련, 전국 주요 지역에 12목을 설치, 지방관(안찰사, 병마사), 향리 제도 마련
- 과거제 정비, 국자감 설치(개경, 유학)
- 연등회 규모 축소 팔관회 폐지
-> 문벌귀족 사회 토대 마련
고려 통치 체제
중앙 통치 조직(2성 6부 - 성종)
[당의 영향]
중서 문하성: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 관서(장관: 문하시중), 재신(2품, 정책 심의 결정), 낭사(3품 이하, 정치의 잘못비판)
상서성 : 정책의 집행(이 병 호 행 예 공부)
[송의 영향]
중추원 : 추밀(2품 이상, 군사기밀), 승선(3품, 왕명 출납)
어사대 : 관리 감찰
삼사 : 회계 담당(언론 기능 X)
[고려의 독자기구]
재추회의(재신 + 추밀) - 국가의 중대사 결정
- 도병마사 : 국방, 군사 문제 담당, 후기에 도평의사사(권문세족, 원나라 간섭)로 바뀜
- 식목도감: 대내적인 법제의 격식 관장
대간(낭사 + 어사대): 서경(왕 임명권), 간쟁(왕의 잘못 논함), 봉박 - 언론기능
지방 행정 조직(5도 양계)
5도(행정)
- 안찰사 파견(5도)
- 특수 행정 구역인 향 부곡 소 존재
- 속군 속현과 향 부곡 소는 주군 주현을 통해 간접 지배 -> 지방관이 파견되면서 호족은 향리로 전환
양계(군사)
- 군사적 특수 행정 구역(북계, 동계). 병마사 파견
군사 조직
- 2군(국왕 친위부대, 응양군 용호군), 6위(수도 경비, 국방경비 - 직업군인(군적에 올라 군인전 지급받음)
- 지방(주현군: 5도의 일반군현 평상시 예비군 , 주진군: 양계 주둔, 상비군)
'한국사검정시험 6월 27일 합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고려(외교) (0) | 2020.05.16 |
---|---|
[한국사] 고려(중기 정치 ~ 무신 정변) (0) | 2020.05.16 |
[한국사] 고대(문화 2) (0) | 2020.05.12 |
[한국사] 고대(문화 1) (0) | 2020.04.05 |
[한국사] 고대(경제, 사회) (0) | 2020.04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