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반응형

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
 

고려 전기(초기)

 

1. 태조 왕건

 - 민생 안전: 1/10 조세감면, 흑창(-> 의창[성종] )설치

 - 호족 당근정책 : 혼인 정책, 사성 정책, 역분전 지급

   호족 채찍정책: 사심관 제도(연대책임), 기인 제도

 - 북진 정책: 서경(평양)중시

 - '정계', '계백료서', 훈요 10조

 

2. 정종 - 왕규의 난

 

3. 광종(왕권강화)

 - 노비안검법 : 불법적 노비 해방(호족세력 약화)

 - 과거제 실시: 쌍기의 건의

 - 공복제정

 - 칭제건원: 황제를 칭하고 광덕, 준풍 등 독자적인 연호 사용

 

4. 경종 - 역분전을 대신하여 전시과 제도 마련(시정 전시과)

 

5 성종 

  -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채택하여 유교 정치 실현 추구

  - 2성 6부의 중앙 관제 마련, 전국 주요 지역에 12목을 설치, 지방관(안찰사, 병마사), 향리 제도 마련

  - 과거제 정비, 국자감 설치(개경, 유학)

  - 연등회 규모 축소 팔관회 폐지 

  -> 문벌귀족 사회 토대 마련

 

고려 통치 체제

 

중앙 통치 조직(2성 6부 - 성종)

[당의 영향]

중서 문하성: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 관서(장관: 문하시중), 재신(2품, 정책 심의 결정), 낭사(3품 이하, 정치의 잘못비판)

상서성 : 정책의 집행(이 병 호 행 예 공부)

 

[송의 영향]

중추원 : 추밀(2품 이상, 군사기밀), 승선(3품, 왕명 출납)

어사대 : 관리 감찰

삼사 : 회계 담당(언론 기능 X)

 

[고려의 독자기구]

재추회의(재신 + 추밀) - 국가의 중대사 결정

 - 도병마사 : 국방, 군사 문제 담당, 후기에 도평의사사(권문세족, 원나라 간섭)로 바뀜

 - 식목도감:  대내적인 법제의 격식 관장

 

대간(낭사 + 어사대): 서경(왕 임명권), 간쟁(왕의 잘못 논함), 봉박  - 언론기능

 

지방 행정 조직(5도 양계)

 

5도(행정) 

 - 안찰사 파견(5도)

 - 특수 행정 구역인 향 부곡 소 존재

 - 속군 속현과 향 부곡 소는 주군 주현을 통해 간접 지배 -> 지방관이 파견되면서 호족은 향리로 전환

 

양계(군사)

 - 군사적 특수 행정 구역(북계, 동계). 병마사 파견

 

군사 조직

 - 2군(국왕 친위부대, 응양군 용호군), 6위(수도 경비, 국방경비 - 직업군인(군적에 올라 군인전 지급받음)

 - 지방(주현군: 5도의 일반군현 평상시 예비군 , 주진군: 양계 주둔, 상비군)

   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