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반응형

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
 

1. 유학의 발달

 

고구려

태학(중앙)소수림왕 때 설치

- 정당(지방): 유학과 무술 교육

 

백제

 - 오경박사(유교 경전 교육), 의박사(의학 교육), 역박사(천문 역법 교육)

 - 왕인이 일본에 '논어' 와 '천자문' 전파

 - 부여 사택지적비(의자왕): 백제의 한문학 수준이 높았음을 알 수 있음

 

신라

 - 임신서기석: 두 청년이 유학 경전 공부에 힘쓸 것을 맹세하는 내용

 - 화랑도(진흥왕)의 세속 5계(원광)

 

통일 신라

 - 국학 설립(신문왕)

 - 독서삼품과 마련(원성왕)

 - 유학자 : 설총(이두 정리, '화왕계'), 김대문('화랑세기', '고승전', '한산기'), 최치원('계원필경', 빈공과 합격, 시무 10여조)

 

발해 

  - 2성 6부(충 인 의 지 예 신)

  - 주자감 설치(유교 경전 교육)

 

2. 역사서의 편찬

고구려 - 영양왕 때 '유기' 를 간추려 '시집' 6권 편찬

백제 - 근초고왕 때 고흥이 '서기' 편찬

신라 - 진흥왕 때 거칠부가 '국사' 편찬

 

3. 도교의 발달

 고구려 - 사신도(청룡(동), 백호(서), 주작(남), 현무(북))

 백 제 - 백제 금동대향로(부여), 산수무늬 벽돌

 신 라 - 화랑도 -> 낭가 사상(신채호)

 

4. 불교의 발달

 고구려 - 전진의 순도를 통해 수용(소수림왕)

 백 제 - 동진의 마라난타를 통해 수용(침류왕)

 신 라 - 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수용(법흥왕)

 

통일 신라

 - 원효 : 아미타 신앙('나무아미타불' 외우면 누구나 극락에 갈 수 있다)

          : 일심 사상과 화쟁 사상

          : '대승기신론소', '십문화쟁론'

 

의상 : 관음 신앙('관세음보살') 

         : 화엄종 개창, 화엄 사상 정립

         : '화엄일승법계도'

 

혜초 :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순례한 뒤 '왕오천축국전' 저술

 

- 선종의 유행 : 실천 수행을 통한 꺠달음 추구 -> 지방 호족 사상적 배경. 9사 선문 성립, 승탑과 탑비 유행

 

5. 불상과 불탑(사진과 연관지어 확인 필수)

 - 불상: 사진과 연관지어 확인

 - 불탑

    - 고구려 : 현존하는 것이 없음

    - 백 제 : 익산 미륵사지 석탑(무왕)

              : 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 - 목탑 양식, '평제탑' 이라 불림

   

    - 신 라 :  경주 분황사 모전 석탑 - 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은 탑

              :  황룡사 9층 목탑(선덕 여왕, 자장의 건의) - 고려 때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

  

    - 통일 신라 : 경주 감은사지 3층 석탑(신문왕), 경주 불국사 3층 석탑(석가탑, 무구정광대다라니경(목판인쇄본) 발견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경주 불국사 다보탑, 양양 진전사지 3층 석탑,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(선종영향)

 

    - 발 해 : 영광탑(벽돌로 쌓은 전탑, 탑 아래 무덤이 있음), 탑등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