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반응형

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
 

1. 삼국의 경제 정책

  - 조세제도 : 조세(토지세- 곡물이나 포 수취), 공물(특산물), 역(요역,군역)

  - 농업정책 : 철제 농기구 보급, 우경 장려

 

2. 상공업과 대외 무역

  - 상업: 신라 지증왕동시(시장) 개설, 동시전(감독관청) 설치

  - 대외 무역

    : 고구려 - 중국 남북조, 유목 민족과 교류

    : 백 제 - 중국의 남조, 왜와 교류

    : 신 라 - 고구려 백제를 통해 중국과 교류 -> 한강 유역 확보 이후 당항성을 통해 중국과 교류

 

3. 남북국 시대의 경제

  3-1 통일 신라의 경제

    - 토지제도: 관리에게 관료전 지급, 녹읍 폐지(신문왕) -> 백성에게 정전 지급(성덕왕) -> 녹읍 부활(경덕왕)

    - 조세제도: 조세, 공물 ,역

                  : 민정 문서 - 일본 도다이사 쇼소인에서 발견된 서원경(청주) 부근 4개 촌에 대한 기록문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-> 촌주가 토지 면적, 인구수 등 3년마다 작성

    - 상 업: 경주에 서시 및 남시를 추가로 설치, 시전(감독관청) 설치

    - 대외 무역 : 당 - 신라방 신라촌(거주지), 신라소(관청), 신라원(사원) 설치, 유학생 파견(빈공과 응시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: 국제 무역항인 울산항을 통해 아라비아 상인 왕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: 장보고의 활동: 완도에 청해진 설치 -> 해상 무역권 장악 및 법화원 설치

  

 3-2 발해의 경제

   - 농업(밭농사 중심, 일부 벼농사 실시), 목축 발달(솔빈부의 말, 막힐부의 돼지 유명)

   - 대외 무역: 당 - 문왕(대흥) 때 교류 시작, 산둥반도에 발해관 설치

                 : 신라 - '신라도'라는 상설 교통로를 통해 교류

 

4. 삼국의 사회

  4-1 고구려

   - 지배층: 왕족 고씨를 비롯한 5부 출신의 귀족

   - 귀족 회의: 제가 회의

   - 빈민 구제책: 진대법 실시(고국천왕)

  4-2 백  제 

   - 지배층: 부여씨(왕족)와 8성 귀족 

   - 귀족 회의: 정사암

  4-3 신  라 

   - 귀족 회의: 화백회의(만장일치 - 상대등)

   - 골품제: 성골, 진골, 6두품 -> 골품에 따른 관직 진출 상한선

   - 화랑도: 화랑(귀족) 과 낭도(귀족, 평민) 구성 원광의 세속 5계 행동 규범으로 삼음 

            -> 계층간의 대립과 갈등 완화, 진흥왕 때 국가 조직으로 개편

 

 5. 남북국 시대 사회

   5-1 통일 신라

    - 민족 융합 정책: 9주(신라 고구려 백제의 옜 땅에 각각 3개씩 설치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9서당(신라인 외에 고구려인, 백제인, 말갈인 포함)

    - 6두품의 성장: 설계두, 설총(원효의 아들, 신문왕 떄 활동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: 최치원(빈공과 합격, 계원필경, 진성 여왕에게 시무 10여 조를 건의하였으나 수용x)

    - 신라 말 진골귀족들의 왕위다툼으로 지방 호족세력 성장 및 농민 반란(원종과 애노의 난)

 

  5-2 발해

    - 이원족 민족구성(고구려인(지배층) + 말갈인)

    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