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반응형

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
 

고구려

1. 동명왕(주몽) - 고구려 건국

 

2. 태조왕 - 옥저 정복

 

3. 고국천왕 

  - 왕위 부자 세습(형제상속 -> 부자상속) 

  - 부족 5부 -> 행정 5부 

  - 구휼제도: 진대법(을파소) 

  -> 진대법: 흉년이 들거나 봄에 먹을 것이 없을 때 나라에서 백성에게 

               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에 갚는 제도

  

4. 동천왕 - 위나라 관구검의 공격으로 환도성 함락 -> 고구려 세력 위축

 

5. 미천왕 - 서안평 점령, 낙랑군과 대방군 축출

 

6. 고국원왕 - 백제의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전사(평양성 전투)

 

7. 소수림왕 (4세기 후반 국가의 기틀을 다짐 - 전성기 시초)

 - 율령 반포(10여 관등 마련)

 - 전진으로부터 불교 수용

 - 태학 설립 

 -> 중앙집권체제 강화

 

------------ 고구려 전성기 -------------

8. 광개토 태왕

 - 백제 공격(한강 이북 차지)

 - 신라에게 도움을 줌(왜 격퇴) -> 호우명 그릇(증거)

 - 거란과 후연을 격파해 요동과 만주일대 장악

 - '영락' 연호 사용

 - 광개토 태왕릉비(장수왕 건립)

 

 

9. 장수왕

 - 중국과 남북조와 동시에 교류 -> 균형외교

 - 남진 정책

 -> 평양 천도: 국내성 -> 평양으로 수도를 옮김

 -> 백제 공격: 백제의 한성 함락(개로왕 전사, 한강 유역 장악) -> 백제가 웅진(공주)로 천도 

 -> 충주 고구려비 

 -> 나(신라) 제(백제) 동맹

 

고구려와 수 및 당의 전쟁

 

- 수 양제의 113만 대군 침입 ->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격퇴(살수대첩)

- 고구려가 당의 침입에 대비하여 천리장성 축조(영류왕 ~ 보장왕)

- 연개소문 집권(대당 강경책 전개)

- 고구려의 당군 격퇴(안시성 싸움)

 

고구려의 멸망

 - 연개소문 사후 권력 다툼 발생 -> 나 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평양성 함락(멸망)

 

고구려 부흥운동

 - 고연무, 검모잠(보장왕의 아들 안승을 왕으로 추대) -> 안승이 검모잠을 죽이고 신라에 투항 보덕국왕으로 임명

 

 

금관가야

 - 수로왕의 건국 신화가 전해짐(구지가)

 - 금관가야(김해) 우수한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전기 가야 연맹 주도 

 - 낙랑과 왜를 연결하는 중계 무역 발달 -> 고구려 광개토 태왕의 공격으로 쇠퇴 -> 대가야 중심지로 이동

 - 신라 법흥왕 때 금관가야 멸망

 

대가야

 - 대가야(고령) 금관가야의 선진 기술 흡수하여 후기 가야 연맹 주도

 - 신라 진흥왕 때 대가야 멸망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