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고구려
1. 동명왕(주몽) - 고구려 건국
2. 태조왕 - 옥저 정복
3. 고국천왕
- 왕위 부자 세습(형제상속 -> 부자상속)
- 부족 5부 -> 행정 5부
- 구휼제도: 진대법(을파소)
-> 진대법: 흉년이 들거나 봄에 먹을 것이 없을 때 나라에서 백성에게
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에 갚는 제도
4. 동천왕 - 위나라 관구검의 공격으로 환도성 함락 -> 고구려 세력 위축
5. 미천왕 - 서안평 점령, 낙랑군과 대방군 축출
6. 고국원왕 - 백제의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전사(평양성 전투)
7. 소수림왕 (4세기 후반 국가의 기틀을 다짐 - 전성기 시초)
- 율령 반포(10여 관등 마련)
- 전진으로부터 불교 수용
- 태학 설립
-> 중앙집권체제 강화
------------ 고구려 전성기 -------------
8. 광개토 태왕
- 백제 공격(한강 이북 차지)
- 신라에게 도움을 줌(왜 격퇴) -> 호우명 그릇(증거)
- 거란과 후연을 격파해 요동과 만주일대 장악
- '영락' 연호 사용
- 광개토 태왕릉비(장수왕 건립)
9. 장수왕
- 중국과 남북조와 동시에 교류 -> 균형외교
- 남진 정책
-> 평양 천도: 국내성 -> 평양으로 수도를 옮김
-> 백제 공격: 백제의 한성 함락(개로왕 전사, 한강 유역 장악) -> 백제가 웅진(공주)로 천도
-> 충주 고구려비
-> 나(신라) 제(백제) 동맹
고구려와 수 및 당의 전쟁
- 수 양제의 113만 대군 침입 ->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격퇴(살수대첩)
- 고구려가 당의 침입에 대비하여 천리장성 축조(영류왕 ~ 보장왕)
- 연개소문 집권(대당 강경책 전개)
- 고구려의 당군 격퇴(안시성 싸움)
고구려의 멸망
- 연개소문 사후 권력 다툼 발생 -> 나 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평양성 함락(멸망)
고구려 부흥운동
- 고연무, 검모잠(보장왕의 아들 안승을 왕으로 추대) -> 안승이 검모잠을 죽이고 신라에 투항 보덕국왕으로 임명
금관가야
- 수로왕의 건국 신화가 전해짐(구지가)
- 금관가야(김해) 우수한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전기 가야 연맹 주도
- 낙랑과 왜를 연결하는 중계 무역 발달 -> 고구려 광개토 태왕의 공격으로 쇠퇴 -> 대가야 중심지로 이동
- 신라 법흥왕 때 금관가야 멸망
대가야
- 대가야(고령) 금관가야의 선진 기술 흡수하여 후기 가야 연맹 주도
- 신라 진흥왕 때 대가야 멸망
'한국사검정시험 6월 27일 합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고대(경제, 사회) (0) | 2020.04.05 |
---|---|
[한국사] 고대(통일 신라, 발해) (0) | 2020.03.31 |
[한국사] 고대(백제,신라) (0) | 2020.03.26 |
[한국사] 여러 나라의 성장(군장 국가, 연맹 왕국) 정리 (0) | 2020.03.24 |
[한국사] 선사시대 정리 (0) | 2020.03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