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반응형

 

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
 

1. 구석기 ( 무리사회 )

 - 채집 및 수렵으로 식 해결

 - 이동 생활(동굴, 막집, 강가)

 - 사냥 도구 -> 뗀석기(주먹도끼, 슴베찌르개(잔석기))

 - 평등 사회 (같이 사냥을 해야하기 때문에 서로서로 챙겨주어야 함) 

 ----- 연천 전곡리에서 주먹도끼 유물이 많이 나옴

 

2. 신석기 ( 부족사회 ) - 농경과 목축의 시작

 - 채집 및 수렵 + 농사(밭) 발달 

 - 가락바퀴 및 뼈바늘을 사용( 실을 뼈바늘에 꿰어 옷과 그물을 만듬 )

 - 정착 생활(움집 등장) -> 원형의 움집 등장 가운데 화로 사용  [서울 암사동, 부산 동삼동]

 - 간석기( 갈돌 및 갈판 ) 

 - 이른 민무늬 토기, 빗살무늬 토기( 식량저장 및 음식조리 )

 - 애니미즘(태양(자연)), 토테미즘(동물), 샤머니즘(무당)

 - 평등 사회

 

3. 청동기 ( 군장국가 ) - 계급의 등장

 - 군장(족장)의 출현 및 , 제정일치

 - 채집 및 수렵 + 농사(밭) + 농사(벼) 발달 + 가축사육 증가 -> 잉여 생산물로 인한 전쟁

 - 똑같은 움집을 만들어서 사용하지만 지상가옥화 발달( 직각네모 형태 )

 - 농기구 -> 반달돌칼 사용(청동기 시대에도 나무나 돌로만든 농기구 사용)

 - 민무늬 토기(미송리식 토기) -> 양쪽 손잡이가 있는 토기

 - 고인돌, 돌널무덤 ( 계급사회 증거)

 - 비파형 동검, 거친무늬 거울 

 ---- 고인돌과 비파형 동검은 후에 나올 고조선(최초국가)과 연계

 

4. 철기 ( 연맹왕국 ) - 철 사용

 - 철제 농기구 사용(쇠가래, 쇠낫, 괭이) 사용

 - 덧널무덤, 독무덤

 - 세형동검, 잔무늬 거울, 거푸집 -> 한반도 지역에서만 나타난 유물들(한반도 내 독자적 청동기 문화)

 - 명도전, 오수전, 붓 유물로 중국과의 교류 증거 

 - 연맹왕국 등장(부여, 고구려, 옥저, 동예, 삼한(마, 변, 진)

 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 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