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백제(온조)
1. 고이왕 - 법령 정비, 관등제 정비, 공복 제정, 마한 목지국 병합
------- 백제의 전성기 -------
2. 근초고왕
- 왕위의 부자 상속 확립
- 마한 정복, 고구려 평양성 공격(고국원왕 전사)
- 중국 남조 동진과 국교 체결, 중국 요서 지방 및 일본 규슈 지방과 교류(칠지도)
3. 침류왕 - 중국 동진으로부터 불교 수용
4. 비유왕 - 나 제 동맹(신라 눌지 마립간) 결성
5. 개로왕 - 고구려 견제를 위해 북위에 국서를 보냄, 장수왕의 공격으로 한성 함락 및 개로왕 전사
-> 문주왕이 웅진(공주)로 천도
6. 동성왕 - 신라와 결혼 동맹(신라 소지 마립간) 결성 -> 나 제 동맹강화, 중국 남조와 국교 재개
7. 무령왕 - 전국 22담로에 왕족 파견 -> 지방 통제 강화, 무령왕릉(중국 남조 및 왜와 교류)
8. 성왕
- 사비(부여) 천도, 국호를 '남부여' 로 고침
- 중앙과 지방 통치 제도(5부 5방) 정비
- 관상성 전투에서 전사(신라 진흥왕)
9. 무왕 - 익산 미륵사 건설, 수 당 일본과의 친선 강화
10. 의자왕
- 신라 공격하여 40여 성 함락
- 전략적 요충지 대야성 함락
- 계백(황산벌 전투) 나 당연합에 패배
백제의 멸망
나 당연합군의 공격 -> 계백의 항전(황산벌 전투) -> 사비성 함락 -> 백제 멸망
백제의 부흥운동
- 복신 도침(주류성), 흑치상지(임존성) 부흥운동 전개
- 백강 전투 패배로 부흥운동 실패
신라(박혁거세)
- 박 석 김 3성이 교대로 이사금(왕)에 선출됨
1. 내물 마립간
- 진한 정복
- 김씨의 독점적 왕위 세습
- 마립간(대군장) 칭호 사용
- 왜가 침입하자 고구려에 지원 요청 -> 광개토 태왕으로 왜 격퇴
눌지 마립간 : 나 제 동맹 결성(백제 비유왕)
소지 말비간 : 결혼 동맹 결성(백제 동성왕)
------- 신라의 전성기 -------
2. 지증왕
- 국호 '신라' , 왕호 마립간 -> '왕' 사용
- 지방을 주 군으로 나누어 관리 파견
- 이사부가 우산국(울릉도) 정복
- 우경 장려
- 순장 금지(노동력 확보)
- 동시, 동시전 설치
3. 법흥왕
- '건원' 연호 사용
- 율령 반포(17관등제 정비)
- 골품제 정비
- 공복 제정
- 상대등과 병부 설치
- 이차돈으로부터 불교 공인
- 금관가야 병합(532)
4. 진흥왕
-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
- 불교 교단 정비, 황룡사 건립, "국사" 편찬(거칠부)
- 백제 성왕과 연합하여 한강 유역 점령, 관산성 전투에서 승리(백제 성왕 전사)
- 대가야 병합(562)
- 단양 신라 적성비, 4개의 순수비(북한산 순수비, 창녕 척경비, 황초령 순수비, 마운령 순수비)
신라의 삼국 통일
나 당 동맹결성
- 백제 의자왕 공격으로 위기 -> 김춘추 당으로 건너가 나 당 동맹결성 -> 백제 고구려 멸망
-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(웅진도독부(백제), 계림도독부(신라 금성), 안동도호부(고구려 평양) 설치
- 고구려 부흥운동 지원, 매소성 전투 및 기벌포 전투에서 당군 격퇴 -> 삼국통일(문무왕)
'한국사검정시험 6월 27일 합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고대(경제, 사회) (0) | 2020.04.05 |
---|---|
[한국사] 고대(통일 신라, 발해) (0) | 2020.03.31 |
[한국사] 고대(고구려, 가야) (0) | 2020.03.25 |
[한국사] 여러 나라의 성장(군장 국가, 연맹 왕국) 정리 (0) | 2020.03.24 |
[한국사] 선사시대 정리 (0) | 2020.03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