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싱글톤 디자인 패턴이란?
단 하나의 객체만 생성 생성된 객체를 어느 클래에서든 참조가 가능하고 접근이 쉽다.
new 키워드를 한번만 사용하기 때문에 최초 한번만 메모리사용
싱글톤 객체는 getInstance 메소드를 통해 다른 클래스에서 호출할 수 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|
/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* 싱글톤은 객체 하나만 생성
* 객체 하나로 모든 클래스가 공유함
* new 키워드를 한번만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아낄 수 있음
* 전역변수 전역메소드라서 다른 클래스에서 접근이 쉬움
*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/
package singleton;
public class Singleton {
// 싱글톤 객체 생성
private static Singleton singletons = new Singleton();
//다른 클래스에서 호출하지 못하도록 private 생성자 생성
private Singleton() {
System.out.println("싱글톤 테스트");
}
//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getInstance 함수 생성
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() {
return singletons;
}
}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 target="_blank" style="color:#4f4f4ftext-decoration:none">Colored by Color Scripter
|
싱글톤 예제를 보여드리기 위해 Test 일반적인 클래스를 만들고 비교하였습니다.
Test 클래스 참조변수로 test 와 test2를 new 키워드를 통해 생성하였지만
서로 다르다고 나옵니다
하지만 싱글톤패턴을 적용하여 getInstance() 메소드를 통해 Singleton 클래스를 호출하여
각 Stest 와 Stest2 참조변수로 하여 비교하였더니 같다고 나옵니다.
이렇게 싱글톤 패턴은 인스턴스 하나만을 이용하고 항상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.
또한 new 키워드는 Singleton 클래스에서 생성할 때 한번만 사용합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|
package singleton;
public class Test {
public void test() {
System.out.println("기본 클래스");
}
}
//메인
package singleton;
public class SingletonTest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s[])
{
Test test = new Test();
Test test2 = new Test();
Singleton Stest = Singleton.getInstance();
Singleton Stest2 = Singleton.getInstance();
if(test == test2) {
System.out.println("test 와 test2 는 같습니다");
}else {
System.out.println("test 와 test2는 다릅니다");
}
if(Stest == Stest2) {
System.out.println("Stest 와 Stest2는 같습니다");
}
else {
System.out.println("Stest 와 Stest2는 다릅니다.");
}
}
}
//결과값
기본 클래스
싱글톤 테스트 test 와 test2는 다릅니다 Stest 와 Stest2는 같습니다 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 target="_blank" style="color:#4f4f4ftext-decoration:none">Colored by Color Scripter
|
반응형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 날짜 값 구하기(현재, 어제, 한시간 전) (0) | 2019.10.08 |
---|---|
자바에서 상속이란 무엇일까? (0) | 2019.07.17 |
자바 소켓을 이용한 클라이언트 (5) | 2019.07.09 |
톰캣 서버 실행 에러(해결방법) (2) | 2019.07.09 |
SVN 형상관리 서버 사용하기 (0) | 2019.07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