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
SVN 형상관리 서버 사용하기

category JAVA 2019. 7. 3. 08:29
반응형

형상관리서버 (SVN)

respository 4가지 역할

 

IMPORT

방향: 클라이언트 => 서버

역할: 팀장이 만든 기본파일을 최초에 한번 전송할 때 쓰임(최초 프로젝트)

 

CHECKOUT

방향: 서버 => 클라이언트

역할: IMPORT된 파일을 팀원이 최초로 다운로드 할 때 쓰임

 

COMMIT(작업완료 시)

방향: 클라이언트 => 서버

역할: 작업한 파일을 서버로 전송(수시로 전송할 때 쓰임)

 

UPDATE(최신파일 가져오기)

방향: 서버 => 클라이언트

역할: 서버에 변경된 파일을 클라이언트로 전송(수시로 전송할 때 쓰임)

 

 

 

1. Visual SVN Server 설치

1-1. https://www.visualsvn.com/server/download/ 사이트에 접속하여 SVN설치

 

1-2. User 생성 및 Group 생성 후 User을 Group에 포함

 

1-3. Group에 권한부여(읽기 쓰기 등)

 

1-4. 저장소 생성(SVN 저장소)

 

1-5. 이클립스에서 SVN 플러그인 설치

 

1-6. 이클립스 Window - Preferences - Team - SVN - SVN Connector

최신 SVN Kit 설치

 

2. 이클립스(Client)에서 SVN Server 접속 (프로젝트 공유 - 팀장)

2-1. IMPORT 할 프로젝트 선택

 

2-2. Project - Team - Share Project - SVN - URL 및 계정암호 입력

Advanced Mode - project repertory layout 의 use single project 선택 후 finish 마지막으로 IMPORT 되었는지 SVN 확인

 

* revision numver(파일에 붙은 숫자) - Commit 할 때 마다 숫자 증가

* 전송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에 파일이 없다면 전송x

 

 

 

 

3. 이클립스(Client)에서 CHECKOUT 작업(팀원)

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있는 프로젝트를 연동시키기 위해 하는 작업(최초로 한번하면 된다)

 

3-1. New -Other - SVN -Project From SVN - 인증 - URL 입력 - trunk 선택

다운로드 될 프로젝트 이름 입력 - Finish

 

3-2. SVN 서버 연동 완료 시 프로젝트에 SVN URL이 적용되어 있다.

 

4. 이클립스(Client)에서 Commit 작업(팀원 및 팀장)

- CHECKOUT 하여 만들어진 프로젝트에서 작업을 완료 후 서버로 프로젝트 전송

 

4-1. 추가된 파일 선택 - Team - Commit 실행

 

4-2. > 표시가 뜨게되면 파일이 변조됐다는 표시

 

* 추가된 파일 및 변경한 파일은 코멘트를 꼭 쓰기

* Resvision 1 증가

* 일반적으로 Synchronize - Update - Commit 순서로 적용하기

 

5. 이클립스(Client)에서 Update 작업(팀원 및 팀장)

- CHECKOUT 한 파일을 최신의 소스로 업데이트 하는 명령

- 소스 수정이나 Commit 하기 전 한번씩 해주는게 좋다.

 

SVN 구성 요소

 

trunk

-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디렉토리

- 모든 프로그램 개발 작업은 Trunk 디렉토리에서 이루어진다.

 

branches

- 프로젝트 내의 작은 프로젝트

- branches 디렉토리 안에 또 다른 디렉토리를 두어 그 안에서 개발

 

tags

-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정기적으로 릴리즈 할 때

- 버전별로 소스 코드를 따로 관리하는 공간

- 백업 및 버전 관리용도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