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WSL (Window Subsystem for Linux)
- 윈도우 10과 윈도우 11에서 네이티브로 리눅스 실행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호환성 계층
- 리눅스 커널 코드가 포함되지 않은,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리눅스 호환 커널 인터펭스 제공
1. 윈도우 PowerShell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
2. PowerSheel 에서 아래 명령어 실행
dism.exe /online /enable-feature /featurename:Microsoft-Windows-Subsystem-Linux /all /norestart
3. 작업이 완료되면 두번째 가상머신 플랫폼 기능 실행
dism.exe /online /enable-feature /featurename:VirtualMachinePlatform /all /norestart
4. 두번째 가성머신 플랫폼 작업이 완료되면 컴퓨터를 재부팅 후 아래주소를 통해 윈도우용 리눅스 커널을 설치
https://wslstorestorage.blob.core.windows.net/wslblob/wsl_update_x64.msi
5. 명령어를 통해 WSL2 로 구성되도록 기본설정 변경
wsl --set-default-version 2
6. 윈도우 실행창에 Microsoft Store 입력
7. ubuntu 설치 ( Ubuntu 22.04.01 LTS 설치)
8. 설치 후 Ubuntu 열기(실행) 후 언어 선택 (한글지원 x)
9. 계정 설정 및 마운트옵션(default 설정) 후 Reboot
10. 아래 명령어로 설치된 wsl 리스트 확인
wsl --list --verbose
참고블로그: https://gaesae.com/161#google_vignette [개새닷컴:티스토리]
반응형
'개발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내 node js 설치 (0) | 2023.02.07 |
---|---|
Ubuntu Docker 설치하기 및 WSL2 Docker 설치 (0) | 2022.10.22 |
브라우저 URL 입력했을 때 발생하는 일 (0) | 2022.07.13 |
세마포어와 뮤택스 (0) | 2022.07.01 |
[AWS]Elastic Load Balancer(로드밸런서) Sticky Sessions (0) | 2022.06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