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임계구역
- 여러 프로세스가 데이터를 공유하며 수행될 때, 각 프로세스에서 공유 데이터에 접근하는 프로그램 코드 부분
2. 세마포어 (Semaphore) ?
- 공유자원에 여러 프로세스가 접근하는 것을 막는 것
- 세마포어 함수는 정수 값을 인자로 갖는 객체
- 정수 값이 양수인 경우 사용중인 쓰레드의 개수(접근할 수 있는 프로세스 개수),
정수 값이 음수인 경우 대기중인 쓰레드의 개수
- 프로세스 마다 접근할 경우 -1, 작업 완료 후 세마 포어 정수 값을 +1 시킴
- 만약 정수 값이 0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락을 실행
3. 뮤택스(Mutext) ?
- 공유자원에 여러 프로세스가 접근하는 것을 막는 것
- Locking 메커니즘
- 1개의 스레드만이 공유 자원에 접근할 수 있음
- 해당 자원을 사용할 프로세스가 임계영역에 접근하기 위해 먼저 자원에 대한 Lock 을 걸고,
작업이 완료된 후 unLock 을 하여 다른 프로세스가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
반응형
'개발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indow] 윈도우에 WSL2 설치 (0) | 2022.10.22 |
---|---|
브라우저 URL 입력했을 때 발생하는 일 (0) | 2022.07.13 |
[AWS]Elastic Load Balancer(로드밸런서) Sticky Sessions (0) | 2022.06.14 |
Redis 란 (0) | 2022.06.11 |
RDBMS 와 NoSQL의 차이 (0) | 2022.06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