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 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- 일제 강점기(1910년대 저항) -
1. 3.1운동 이전의 민족 운동
<국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>
> 서간도(남만주)
- 신민회 회원들이 이주 -> 삼원보 개척
- 경학사 조직 (-> 부민단 -> 민족회로 발전), 신흥 강습소 설립(-> 신흥 무관 학교), 서로 군정서 조직
> 북간도
- 서전서숙(이상설), 명동 학교를 설립하여 민족 교육 실시
- 대종교도 중심으로 무장 독립운동 단체인 중광단 조직 -> 북로 군정서로 발전
- 간민회 : 한인 자치 기관
> 연해주
- 블라디보스크에 신한촌 건설, 권업회 조직(권업시문 발간), 대한 광복군 정부, 대한 국민 의회 결성
> 상하이
- 신한 청년당 조직 -> 파리 강화 회의에 김규식 파견
> 미국
- 미국 본토 : 안창호 등을 중심으로 대한인 국민회 조직
- 하와이 : 박용만의 주도로 대조선 국민군단 창설
<국내 항일 비밀 결사>
> 독립 의군부
- 임병찬이 고종의 밀명을 받아 비밀리에 조직
- 복벽주의 표방, 조선 총독에게 국권 반환 요구서 발송 계획
> 대한 광복회
- 대구에서 박상진 등이 주도
- 공화 정체 근대 국가 수립 지향
2. 3.1 운동
- 배경 :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 제시
신한 청년당이 파리 강화 회의에 김규식을 대표로 파견
일본 유학생의 2 8 독립 선언
- 준비 : 독립 선언서 작성, 민족 대표 구성
- 독립선언 : 고종 인산일에 맞추어 계획 -> 민족 대표 33인이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서 낭독
- 확산 : 평양, 원산 등 주요 도시에서도 시위 전개
- 일제의 탄압 : 헌병 경찰과 군대 동원, 무자비한 탄압(제암리 학살 사건)
> 3.1 운동의 의의와 영향
- 의의 : 모든 계층이 참여한 거국적 민족 운동
- 영향 : 일제 식민 통치의 변화(무단 통치 -> 문화 통치)
: 만주 연해주에서 무장 독립운동 활성화
: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
: 중국의 5 4 운동, 인도의 비폭력 불복종 운동 등 외국의 민족 운동 영향을 줌
3. 대한민국 임시 정부
- 상하이에 통합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(1919)
- 삼권 분립에 기초한 민주 공화제 정부
- 지도부 : 대통령에 이승만, 국무총리에 이동휘
- 비밀 행정 조직 : 연통제(비밀 행정 조직망) 와 교통국(비밀 통신 기관) 조직 -> 독립운동 자금 모금, 국내 연락망 구축
- 자금 마련 : 독립 공채 발행, 의연금 모금
- 문화 : 독립신문 발행, 임시 사료 편찬 위원회 설치(한 일 관계 사료집 발간)
- 군사 : 군무부 설치, 직할 부대 편성
- 외교 : 미국 워싱턴에 구미 의원부 설치(이승만이 주도)
< 국민 대표회의 개최와 임시 정부 변화 >
> 국민 대표회의(1923)
- 이승만의 위임 통치 청원서 제출에 대한 거센 비판
- 진행 :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새로운 진로 모색 - 창조파(신채호 중심) 개조파(안창호 중심) 대립
- 결과 : 회의 결렬 -> 많은 독립운동가의 이탈 -> 대한민국 임시 정부 침체
> 임시 정부 변화
- 1920년대 중반 : 이승만 탄핵 -> 박은식이 2대 대통령(1925) -> 내각 책임제로 개편
- 1930년대 : 김구가 임시 정부의 활성화를 위해 한인 애국단 조직(1931) -> 이봉창, 윤봉길(홍커우 공원) 의거
-> 중국 국민당 정부 지원, 윤봉길 의거후 상하이를 떠나 이동
- 1940년대 : 층칭에 정착, 주석제 도입 -> 한국 광복군 창설(1940), 삼균주의를 기초로 한 건국 강령 발표(1941)
: 대일 선전 포고, 국내 진공 작전 준비
'한국사검정시험 6월 27일 합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일제 강점기(1930년대 저항) (0) | 2020.06.22 |
---|---|
[한국사] 일제 강점기(1920년대 저항) (0) | 2020.06.16 |
[한국사] 일제 강점기(식민통치) (0) | 2020.06.12 |
[한국사] 개항기(문화) (0) | 2020.06.11 |
[한국사] 개항기(경제) (0) | 2020.06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