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반응형

참고 - 큰별 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

 

- 일제 강점기(1920년대 저항) -

 

 

 

 

1. 국내 사회 경제적 민족 운동

 > 물산 장려 운동 (평양)

  - 조만식 등을 중심으로 평양에서 조선 물산 장려회 조직 -> 일본 상품 배격, 근검저축과 금주 단연 운동

    -> '내 살림은 내 것으로', '조선 사람 조선 것' 

 > 민립 대학 설립 운동 (이상재)

  - 배경 : 제2차 조선 교육령 공포(대학 설립 가능)

  - 이상재 등이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 조직 -> '한민 족 1천만이 한 사람 1원씩'

  - 모금 실적 부진, 일제 방해 좌절 -> 일제가 무마책으로 경성 제국 대학 설립(1924)

 > 문맹 퇴치 운동

  - 1920년대 후반 조선일보 주도 -> 한글 교재 보급, 전국 순회강연 개최

 > 조선 노동 총동맹(1924)

 > 소작 쟁의 ( 1923, 암태도 소작 쟁의) - 소작권 이전 반대, 고율 소작료 인하 요구

 > 노동 쟁의 ( 1929, 원산 총파업 ) - 노동 조건 개선, 임금 인상 등 주장

 

 > 신간회 결성과 활동

  - 배경 : 치안 유지법 제정 -> 사회주의자들의 활동 위축(민족주의 진영과 연대 모색, 정우회 선언 발표)

  - 창립 :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 연합하여 결성 (1927)

  - 강령 : 정치 경제적 각성 촉구, 기회주의 배격

  - 활동 : 강연회 개최,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지원(진상 조사단 파견, 민중대회 계획)

  - 해소 : 일제의 탄압, 코민테른의 지시를 받은 사회주의 계열의 이탈로 해소(1931)

  - 의의 :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민족 협동 전선, 일제 강점기 최대 규모 민족 운동 단체

 

 > 학생 운동

 - 6 10 만세 운동(1926) : 순종 인산일에 전개,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연대 모색 계기

 - 광주 학생 항일 운동(1929) : 광주 한 일 학생 간 충돌 -> 광주 지역 학생 대규모 시위 -> 신간회 지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> 전국 확대( 3 1 운동 이후 최대 규모 항일 민족 운동)

 > 소년 운동

 - 방정환, 김기전 등이 중심이 된 천도교 소년회 주도 -> '어린이' 용어 처음 사용, 어린이날 제정, 잡지 '어린이' 발간

 > 여성 운동

 - 근우회 결성(1927, 신간회 자매단체) -> 여성의 단결과 지위 향상 도모

 - 형평 운동 : 백정들이 진주에서 조선 형평사 결성(1923) -> 백정에 대한 차별 철폐 주장

 

2. 의열 투쟁(의열단)

 - 만주에서 김원봉의 주도로 조직(1919) -> 일제 요인 암살, 식민 통치 기관 파괴 등 개인 폭력 투쟁

 - 김원봉의 요청으로 신채호가 작성한 '조선 혁명 선언' 활동 지침

 - 김익상(조선 총독부 폭탄 투척), 김상옥(종로 경찰서 폭탄 투척), 김지섭(도쿄 궁성 폭탄 투척)

   나석주(동양 척식 주식회사와 조선 식산은행 폭탄 투척)

 - 1920년대 후반에 조직적인 항일 무장 투쟁 전환 -> 일부 단원이 황푸 군관 학교에서 군사훈련. 

   조선 혁명 간부 학교 설립(1932). 민족 혁명당 결성에 주도적 역할

 

3. 민족 문화 수호 운동

> 국어 

 - 조선어 연구회(한글 보급 노력, '갸갸날' 제정, 잡지 '한글' 발행), 카프 문학

> 민족주의 사학

 - 신채호 : '조선상고사' , '조선사연구소' 저술 

 - 박은식 : '한국통사', '한국독립운동지혈사' 저술 국혼 강조

 - 영화 : 나운규 '아리랑' 제작

 

4. 국외 무장 독립 전쟁

 > 봉오동 전투

  - 대한 독립군(홍범도) 등 독립군 연합 부대가 봉오동에서 일본 크게 격파(1920)

 > 청산리 전투

  - 북로 군정서(김좌진), 대한 독립군 등의 독립군 연합부대와 의민단, 선민단 등 독립 운동 연합

    -> 백운평, 어랑촌 등지에서 일본군을 크게 격파(1920)

> 간도 참변 :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에서 패한 일본군이 간도의 한인 마을을 습격 무차별 학살

> 자유시 참변 : 러시아 혁명군이 무장 해제 요구를 거부한 독립군 공격 -> 독립군 희생

> 3부 성립 : 독립군의 만주 귀환, 독립운동 단체 통합 -> 의부, 의부, 민부 결성

> 3부 통합 운동 : 미쓰야 협정으로 독립군 활동 위축 -> 국민부(남만주), 혁신 의회(북만주) 재편

 

반응형